본문 바로가기

논문 리뷰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 논문 리뷰

Attention 기법을 처음 적용하여 긴 문장의 NMT(Neural machine translation)에서 성능을 향상시킨 NEURAL MACHINE TRANSLATION BY JOINTLY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을 리뷰를 해보겠다.


RNNsearch가 해당 모델이고, RNNenc가 이전 모델로 큰 성능향상을 하였다.

한국어 리뷰, 한국어 리뷰 유튜브 그리고 논문를 참고하자.

ABSTRACT, Introduction 요약

Neural machine translation 이하 NMT는 machine translation에 최근 제안된 접근 방식이다. (해당 논문은 2015년에 발표되었다) 전통적인 statistical machine translation과 달리 NMT는 machine translation의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한 single neural network를 구축하는 게 목적이다.

최근에 제안된 모델들은 encoder–decoder구조에 속한다. encoder–decoder방법은 encoder neural network로 소스 문장을 fixed-length vector로 인코딩 한다. 그런 다음 디코더는 인코딩된 fixed-length vector을 통해서 번역을 진행한다. 상식적으로 작은 fixed-length vector 하나로는 소스 문장이 길면 길수록 문장의 정보를 담기 힘들것이다. 실제로 입력 문장의 길이가 증가함에 따라 encoder–decoder의 성능이 급속히 저하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델이 자동으로 Soft-alignments 이하 attention작업을 진행한다.

Soft-alignment(attention) VS Hard-alignment

  • Hard-alignment : 정보를 1 : 1로 매핑하여 해석한다. 예를 들면 한국어와 영어가 어순이 다른데 이 다른 어순을 인식하지 못하고 그 순서를 그대로 가져가는 것.
  • Soft-alignment(attention) : 정보를 전부 확인하며, 어순이 다른 것 마자도 학습을 통해서 인식하는 것. 5 RESULTS에서 확인 가능.

이 접근법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전체 입력 문장을 하나의 fixed-length vector로 인코딩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대신에, 디코딩을 진행할 때마다 번역된 단어가 위와 같이 관련된 문장을 찾는다. 우리는 이 방법으로 모델이 긴 문장에 더 잘 대처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LEARNING TO ALIGN AND TRANSLATE

이 절에서 이 논문에 모델을 이야기한다. 인코더에서 양방향 RNN을 사용한다. 따라서 번역을 할 때 이전에 나온 단어 뿐만 아니라 다음에 나올 단어들까지 보면서 정확도를 높이겠다는 의미를 가진다. 디코딩 과정에서 위에서 설명한 attention을 통해 번역할 문장에 해당하는 소스문장을 찾는다. 아래 그림으로 전체구조를 볼 수 있다.

3.1 DECODER: GENERAL DESCRIPTION

이 구조에서 새로운 조건부 확률을 정의한다.

si는 시간 i에 대한 RNN의 hidden state로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 식은 RNN 과정을 통해서 이전에 나온 것들과 ci부분을 통해서 다음번 단어를 생성한다는 의미이다.
여기서 주목할만한 점은 ci 부분이다. 나머지 부분은 일반적인 RNN 구조를 가지지만 ci는 attention 과정을 의미한다.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다.

ci는 hj와 알파의 곱으로 쓰인다. hj는 입력 시퀀스의 j 번째 단어라고 생각하면 된다.

알파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알파는 소프트맥스를 통해 eij에 대한 확률값을 가진다. e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a함수는 alignment model로 특정 j번째 입력 hidden starte와 직전에 만들어낸 단어의 hidden starte 사이의 관계값이다.

a함수를 풀어쓰면 위와 같은 식이 된다. 출력 네트워크의 hidden starte와 인코더 네트워크의 hidden starte를 합치고 tanh를 진행한다. 즉 이것도 하나의 뉴런네트워크이다. Vhj는 이미 계산된 값이며 Wsi-1 값만 계속해서 계산하면 된다.

여기서 i는 변수로 출력하는 word의 index를 나타낸다. 즉 word를 만들 때마다 새롭게 계산된다. 그러므로 긴 문장이어도 attention 기법을 통해서 attention 기법을 사용하지 않는 방식보다 훨씬 높은 정확도를 가진다.

3.2 ENCODER: BIDIRECTIONAL RNN FOR ANNOTATING SEQUENCES

일반 RNN은 input sequence x를 순방향으로만 계산한다. 번역 등을 할때는 이전 단어뿐만 아니라 다음 단어도 학습하길 원한다. 그래서 역방향까지 학습하는 양방향 RNN을 사용한다. 그리고 최근 음성 인식 쪽에서도 성공적으로 적용되었다고 한다. 참고 (see, e.g., Graves et al., 2013).

양방향 RNN은 순방향과 역방향 2개의 RNN으로 구성된다. 순방향은 1,2,3,...,T 까지 역방향은 T,....,2,1로 계산한다.

그리고 순방향과 역방향을 concatenating하여 hj를 구한다.

이 방법을 통해서 hj는 j번째 단어 앞뒤의 정보를 모두 알 수 있게 된다.

4 EXPERIMENT SETTINGS

대표적으로 English-French번역을 가지고 테스트를 했다. 348M개의 데이터로 테스트를 했다.

Hidden units를 1000개로 계산한다. 그런데 이 모델을 양방향 RNN으로 순방향 1000개 역방향 1000개로 일반 RNN보다 좀 더 많은 Hidden units를 가지고 있다.

SGD와 Adadelta를 사용했다. 각 SGD 업데이트 방향은 80 sentences의 minibatch를 사용하여 계산했다.

성능

처음에 보여준 그림과 같이 RNNsearch가 해당 모델이고, RNNenc가 이전 모델이다. 큰 성능 향상을 보였고 문장의 길이가 길어져도 급감하는 현상이 적어졌다. 그리고 트레이닝을 50개짜리로 더 많이 했을 때 더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이 붙은 게 매우 오랫동안 학습을 한 경우인데, No UNK 즉 모르는 단어를 제외하면 open source smt로 유명한 Moses보다 높은 성능을 보여준다. 간단한 모델을 통해서 Moses보다 높은 성능을 발휘하는 것은 대단한 성과이다.

5 RESULTS

위 그림은 x축으로 입력 sentences, y축으로는 출력 sentences를 차례대로 썼고 각 네모의 밝기가 알파 값이다. 즉 밝을수록 관련이 높은 것이다. 불어와 는 일반적으로 어순이 비슷하여 무난하게 가기도 하지만 어떨 때는 어순이 거꾸로 일 때도 있다. 그리고 여러 정관사도 1:n으로 있을 수도 있는데 이럴 때도 attention이 해당하는 부분을 잘 처리하는 것을 그림을 통해 볼 수 있다.

일반적인 seq2seq모델의 문제점인 초반에는 번역이 잘 됐다가 문장이 길어지면 해석이 잘 안 되는 경향이 있는데 attention을 적용하여 긴 문장도 해석이 잘 된다고 한다.


(구글 번역기를 돌려보니 뭔가 잘 되는 거 같다.)